대선후보 여론조사 오류와 한계 '심각'
대선후보 여론조사 오류와 한계 '심각'
(언론사 박-문 지지율 최대 11.1%P 격차)
(표본추출 임의대로, 신뢰도 논란)
대권을 향한 후보들 경쟁이 종반으로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유력 후보군인 박근혜(새누리당)-문재인(민주통합당) 대선후보를 놓고 '오차범위 이내~11%포인트 이상'까지 나타난 '제각각 여론조사 결과'가 유권자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오는 13일부터 언론사의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되는 상황에서 언론사와 여론조사 기관들은 각 후보·정당 지지도 조사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신뢰도는 여전히 논란거리다. 특히 박근혜-문재인 양자 간 지지율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라는 점은 여론조사 결과가 대중의 의사결정에도 잠재적 소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부분을 내포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 결과 비교 = <조선일보>가 지난 10일 발표한 제18대 대선 후보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47.5%,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42.7%로 두 후보간 격차는 4.8%포인트였다. 이날 <국민일보>가 발표한 대통령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는 박 후보(47.4%)가 문 후보(42.7%)를 4.7%포인트 앞섰다. <한겨레신문> 여론조사 결과는 박 후보 46.0%와 문 후보 41.7%로 4.3%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SBS〉의 7~8일 조사는 박 후보 47.6%, 문 후보 43.6%로 4.0%포인트 차이를 나타냈다. 반면 <중앙일보>가 10일 발표한 지지율 여론조사는 박근혜 후보 49.0%, 문 후보 37.9%로 무려 11.1%포인트나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신뢰도 = <중앙일보>의 10일 여론조사에서 박 후보와 문 후보는 무려 11.1%포인트 격차였다. 앞서 <중앙일보>는 지난 4일 진행된 대선후보 TV토론을 놓고 5일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조사의 표본을 '편의표집 방식'으로 선정, 집계 과정에서 가중치 부여 △최대 허용 오차범위는 무작위를 전제로 할 경우 95% 신뢰수준에서 ±4.2%포인트, 응답률은 36.3% 등을 통해 얻은 결과라고 밝히고 있어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됐다. 이는 표본 설정 시 전국의 인구비례나 성별, 나이, 직업 등 비율에 맞추지 않고 편의대로 가감했고, 응답률이 36.3%로 이뤄졌다는 의미다. 조급한 여론조사뿐 아니라 10일 오전까지 나온 여론조사 결과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시간 설정과 표본 분포 등에 따른 오류를 안고 있다.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 여론조사 오류의 발생 이유는 방법적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직접 면담을 통한 조사, 집 전화를 통한 조사, 휴대전화를 통한 조사, 사람이 일일이 전화로 묻는 조사, 자동응답시스템(ARS)을 이용한 조사 등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특정 후보에 대한 잘못된 지지율이 전파될 경우 대중들의 역선택이라는 왜곡 현상 발생도 가능하다. 아울러 표본샘플 추출 과정의 문제, 연령과 지역별 응답자 비율이 실제 인구통계 비율에 미치지 못할 때 적용하는 가중치 등 특정 표본의 포장 역시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 전수조사라 하더라도 '소수라 판단하는 계층의 침묵'은 오차의 원인이 된다.
◇여론조사 무조건 믿으면 낭패 = 여론조사의 맹점은 지난 선거들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난 2010년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언론사와 여론조사 회사들은 선거 관련 여론조사 예측 결과를 쏟아냈다. 당시 서울시장에 출마한 오세훈(한나라당) 후보 지지율은 50% 후반까지 결과가 나왔다. 반면 한명숙(민주당) 후보는 30% 초·중반 지지율을 보여 두 후보 간 20%포인트에 가까운 격차를 전망했다. 하지만 오세훈 후보는 고작 0.6%포인트 차이를 보이며 간신히 당선됐다. 지난 4·11 총선 때도 여론조사 기관들은 민주당이 135~140석 정도로 원내 제1당이 될 것이라고 믿었지만, 새누리당이 152석으로 1당이 됐다. 민주당은 127석을 얻는 데 머물렀다.
(기사 =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99599)
/조문식 기자